수원시, ‘2021 쓰레기 백서’ 제작 > 문화/환경

본문 바로가기
    • 맑음
    • 22.0'C
    • 2024.06.19 (수)
  •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문화/환경

수원시, ‘2021 쓰레기 백서’ 제작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2-01-12 07:23

본문

undefined

지난해
쓰레기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강력한 생활폐기물 감량 정책을 추진한 수원시가 2021년 쓰레기 감량 성과와 올해 정책 비전을 수록한 백서 미래를 향한 폐기물과의 동행을 발간했다.

 

수원시가 처음으로 제작한 쓰레기 백서미래를 향한 폐기물과의 동행은 지난해 수원시가 추진한 쓰레기 감량 정책, 성과를 담은 ‘2021년 되돌아보기와 올해 추진할 정책을 소개하는 ‘2022년을 준비하며등으로 구성됐다.

 

수원시는 지난해 222일부터 자원회수시설로 반입되는 생활폐기물을 대상으로 샘플링(표본 검사)을 해 반입 기준에 미달된 쓰레기를 배출한 동()과 공동주택단지는 생활쓰레기 반입 정지처분을 내리는, 강력한 쓰레기 감량 정책을 추진했다.

 

강력한 감량 정책으로 매년 증가했던 소각용쓰레기 발생량이 전년보다 9.9% 줄어드는 성과를 거뒀다. 반면 자원순환센터로 반입된 재활용 쓰레기는 전년보다 9.4% 늘어났다.

 

수원환경컵 큐피드(cupid) 제작·보급, 사용 캠페인 다회용 수송 포장재 사업 단독주택 투명페트병 분리배출 제도 시행 자원관리도우미 운영 등으로 일회용품 발생량은 줄이고, 쓰레기 재활용은 늘렸다.

 

수원시가 2020년 전국 최초로 시작한 청소차량 배기관 수직상향 전환 시범 사업은 우수사례로 인정받아 환경부의 환경미화원 작업안전가이드라인에 소개됐다.

 

청소 차량 배기관 상향 전환 사업은 청소차량의 배기관을 차량 뒤편 바닥이 아닌 조수석 뒤에 수직으로 설치해 배기가스를 차량 위로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환경관리원의 작업 환경을 개선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자원회수시설에서 쓰레기를 소각할 때 발생하는 증기열을 활용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민간 발전사업을 유치해 지난해 말 시운전을 시작했다. 연간 전력 생산량은 36100h에 이른다.

 

모바일 대형폐기물 수거 서비스 운영업체와 협력해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대형폐기물 수거를 신청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해 운영하고 있고, 지난 11월에는 공동주택단지에서만 사용했던 음식물쓰레기 RFID 종량제기기를 일반주택지역 15개소(20)에 시범 설치했다.

 

수원시는 올해 추진한 쓰레기 감량 정책을 자체 평가해 개선할 점을 도출했다.

 

정책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2022년에는 생활폐기물 감축을 통한 청결도시 조성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선도도시 구현 안전한 폐기물 처리 시설 구축 안전하고 깨끗한 선진화장실 문화 조성 등을 비전으로 설정해 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수원특례시출범에 발맞춰 환경관리원 근무복, 청소차량, 청소장비 등 청소 업무 관련 장비·시설의 디자인을 개선하고, 더 효율적인 청소행정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가로(街路) 청소에 필요한 청소 장비 종류와 수량, 청소 근로자 1인당 작업 구간 등 청소업무 운영 방식을 진단한 후 인구 50만 명 이상 도시의 청소 운영 실태를 비교·분석해 수원시 특성에 맞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수원시는 올해부터 쓰레기 백서를 매년 제작해 청소 행정의 주요 성과를 기록할 예정이다. 미래를 향한 폐기물과의 동행은 시청 각 부서와 사업소, 4개 구 생활안전과, 각 동행정복지센터 등 내부 기관에 배포한다.

 

수원시 관계자는 지난해 강력한 생활폐기물 감량 정책을 추진해 소각용쓰레기 발생량을 10% 가까이 줄이는 성과를 거뒀지만, 여전히 관리자가 없는 공동주택 지역의 쓰레기 혼합 배출 문제는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진단하며 어느 곳에서나 쓰레기를 올바르게 분리배출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는 더 내실 있게 청소업무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본 사이트는 이메일주소를 무단수집하는 행위를 거부합니다. [법률 제 8486호]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박석로 33번길 32-12 동양주택 나동 B01
TEL/ 대표전화 : 010-4226-8270 FAX/ [대표e메일] kidari64@gmail.com
발행·편집인 김종세 ㅣ 등록번호 : 경기 아 50309 [등록일] 2011년 11월28일 [청소년보호책임자] 김 종세

Copyright ⓒ 2011 www.성남미디어 (snmedia.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