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한 소변검사, 수술 후 ‘급성 신손상’ 예측에 유용 > 건강/스포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건강/스포츠

간단한 소변검사, 수술 후 ‘급성 신손상’ 예측에 유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8-03-05 17:44

본문

- 소변검사 결과에서 단백뇨 동반된 환자, 급성 신손상 발생 위험 및 사망률 높아져 -
■ 급성 신손상으로 신장 기능 악화되면 노폐물 배설 어려워, 투석위험과 사망률 높여
■ 때문에 수술 환자의 급성 신손상 발생 여부 파악 및 사전 예측은 매우 중요
■ 분당서울대병원 신장내과 연구팀, 수술 전 간단한 소변검사 통해 급성 신손상 발생 및 예후 예측력 연구
■ 소변검사 결과 단백뇨 있는 환자, 급성 신손상 발생 위험 1.47배 증가, 1년 이내 사망률 2.81배 높아져
■ 간단한 소변검사 결과가 급성 신손상 발생과 장기적인 예후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정보 가지고 있어
■ 수술 전 소변검사에서 이상이 확인된 환자는 수술 이후에도 주의 깊은 관찰과 적극적인 치료 필요




‘수술 전 소변검사로 수술 환자의 급성 신손상 발생 예측이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표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김세중 교수팀은 10년 이상의 연구 코호트를 통해 수술 전 단백뇨가 있는 환자의 경우 급성 신손상 발생 위험 및 사망률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급성 신손상은 신장세포가 손상을 받으면서 신장기능이 약화되는 질환으로 전체 입원환자 5-10%에서 발생하는 흔한 질환이다. 신장은 우리 체내에서 다양한 일을 하지만 그 중 소변을 만드는 기관으로, 만약 급성 신손상으로 신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면 노폐물이 배설되지 않고 몸 안에 쌓일 수밖에 없다. 때문에 급성 신손상은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해야 하는데, 치료시기를 놓치면 투석 위험을 높이고 사망률까지도 높이는 위험한 질환이다.

특히, 수술을 받은 이후 급성 신손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는 환자의 회복과 예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급성 신손상 발생에 대한 면밀한 감시와 함께 이를 사전에 예측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은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약 10년 동안 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환자중 40,090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 수술 전 실시한 소변검사 결과와 함께 수술 후 발생한 급성 신손상과 환자의 예후에 대해 분석했다.

분석결과 수술 전 시행한 소변검사에서 단백뇨는 3,034명(7.6%), 혈뇨는 3,736명(9.3%), 농뇨는 5,446명(13.6%)의 환자에게서 발견됐고, 수술 후 급성 신손상 발생은 2,582건(6.4%)에 이르렀다.

이와 함께 단백뇨가 동반된 경우에는 급성 신손상 발생 위험이 1.47배 증가, 소변 속에 수분이외의 물질이 많은 경우 즉, 농도가 높은 고장뇨의 경우에도 급성 신손상 발생 위험이 1.30배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혈뇨와 농뇨가 있는 경우에도 급성 신손상 예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단백뇨가 있는 환자는 급성 신손상의 위험뿐만 아니라 1년 이내 사망률도 2.81배 높아졌으며, 신기능 감소가 지속될 위험도 2.07배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당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김세중 교수는 “간단한 소변검사 결과가 급성 신손상의 발생과 환자의 장기적인 예후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었다”며 “수술 전 소변검사에서 이상이 확인된 환자는 수술 이후에도 주의 깊은 관찰과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사실 이전까지는 수술 전 소변검사의 임상적인 의의가 명확하지 않아 그 중요성이 잘 알려지지 않았고, 검사 결과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번 결과를 통해 수술 전 소변검사 결과가 급성 신손상 발생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한 만큼, 소변검사 결과에 따라 예방적 치료와 처치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덧붙여 김세중 교수는 “새로운 검사방법이 아닌 이미 시행해오고 있던 간단한 검사들을 통해 중요한 임상적 의미를 파악해 낸 만큼, 앞으로도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인 검사결과들을 활용해 환자의 예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근거를 확보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외과학 국제저널 ‘Surgery’ 최신호에 게재됐다. 

Copyright ©snmedia.kr.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본 사이트는 이메일주소를 무단수집하는 행위를 거부합니다. [법률 제 8486호]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박석로 33번길 32-12 동양주택 나동 B01
TEL/ 대표전화 : 010-4226-8270 FAX/ [대표e메일] kidari64@gmail.com
발행·편집인 김종세 ㅣ 등록번호 : 경기 아 50309 [등록일] 2011년 11월28일 [청소년보호책임자] 김 종세
아이콘생성하기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