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사회의 진단과 관리전략 > 오피니언/인터뷰

본문 바로가기
    • 맑음
    • 19.0'C
    • 2024.04.28 (일)
  •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오피니언/인터뷰

분노사회의 진단과 관리전략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3-05-14 08:50

본문

평범한 일반인들의 일상생활 속 분노가 다양한 형태로 표출되고 있다. 순간적 분노를 참지 못해 벌어지는 우발적 범죄, 묻지마 범죄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도로위의 무차별적인 위협행위로 인한 사고는 전체 사망사고의 70.1%를 차지하고 있다. 이 같은 일상화된 분노는 익명성이 보장되는 환경에서 타인에 대해 무부분별하게 자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분노는 자기 욕구 실현을 부정 혹은 저지하는 것에 대한 저항의 정서로 다른 사람에 의해서 고의적으로 유발된 불쾌하고 공정하지 못한 상황에서 촉발된다. 개별적이고 일회적인 감정이 집단화되고 일상화될 때 분노사회화가 된다. 우리나라 사람의 화 잘 내고 지기 싫어하는 기질적 특성과 결과지향적인 사회 문화로 인한 스트레스가 분노 촉발의 주요한 원인이다. 또한 층간소음, 주차문제 등 일상생활 속 ‘가시형 불편’은 타인으로부터 존중받지 못하고 있다는 분노심리를 자극하지만, 이를 치유할 가족이나 동료가 부재하고, 사회적 기반도 미흡하여 분노의 강도를 조절하기 어렵다. 무엇보다도 분노의 강도가 높아지는 것은 삶의 질 욕구의 실현이 사회적 불평등 심화 등의 사회적 장애물로 인해 점차 어려워지는 구조적인 문제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한국인의 일상화된 분노 관리를 위해서는 첫째, 사회적 자본형성을 통해 성장사회에서 성숙사회로 한국인의 지향성이 바뀌어야 한다.

 

둘째, 청소년기부터 스트레스 관리와 분노조절을 위한 전문상담교사제 확대와 인성을 강조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확충하고,

 

셋째, 기업들은 스트레스 관리에 중점을 둔 인사관리를 강화하여 직장에서 얻은 스트레스를 가족과 이웃에게 전이하는 악순환을 막아야 한다.

 

넷째, 삶의 질 충족을 위한 사회안전망 및 경제적 재기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지역유대감 강화를 통해 가족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하며,

 

다섯째,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는 ‘가시형 불편’을 발견하고, 생활친화적 정책을 마련할 수 있는 생활형 지표를 개발 운용할 필요가 있다.

 

경기도는 첫째, 교도소, 소년원 등 정신보건취약계층 관련기관에 정신보건센터에서 분노조절상담사, 심리상담사 등을 파견하는 사업추진한다.

 

둘째, 사회적 기업을 활용한 심리치료와 공동체 복원을 통해 개인의 소속감과 자존감을 높인다.

 

셋째, ‘동네거버넌스’를 토대로 지역사회 신뢰를 높여 일상의 분노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최석현 사회경제센터 연구위원()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본 사이트는 이메일주소를 무단수집하는 행위를 거부합니다. [법률 제 8486호]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박석로 33번길 32-12 동양주택 나동 B01
TEL/ 대표전화 : 010-4226-8270 FAX/ [대표e메일] kidari64@gmail.com
발행·편집인 김종세 ㅣ 등록번호 : 경기 아 50309 [등록일] 2011년 11월28일 [청소년보호책임자] 김 종세

Copyright ⓒ 2011 www.성남미디어 (snmedia.kr) All rights reserved.